이재용 회장, 9년만에 족쇄 풀렸다.

홈 > 참여공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이재용 회장, 9년만에 족쇄 풀렸다.

미카엘 6 293
27c4dfe77aba1513e57db57c82d0f142_1739930335_18.jpg

 

 "AI 혁신으로 틈세 시장을 노리라"

한국이 잘하는 방위산업, 전자산업, 조선업, 철강산업에 

AI를 접목, 생산성을 혁신 시키라는 것이다

                                              

a7b9914defc898e9f9cb1e82c45225a2_1738647448_51.png

 

fe322427a9705767c5e7c18be0c5d634_1738645789_73.jpg

 

fe322427a9705767c5e7c18be0c5d634_1738645842_53.png

 

fe322427a9705767c5e7c18be0c5d634_1738646122_01.png

 

fe322427a9705767c5e7c18be0c5d634_1738646159_7.png

 

​                      “9년만에 족쇄 풀렸다” 


서울고법 형사13부(부장판사 백강진)는 3일 자본시장법 및 외부

감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등 19개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 대해

“공소사실을 모두 무죄로 판단한 원심 판결에 대해 검사의 항소

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고, 예비적 공소사실 역시 모두 무죄로

판단한다”고 판결했다.

 

2018년 수사에 착수한 검찰이 2020년 9월 기소한 이후 선고까지

1252일 걸린 1심에 이어 1년간 진행된 2심에서도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가 선고된 것이다.


                                                2025, 2, 4.

                                                김자현.손주영 기자.  


1e518599e992522f7b29b1721a75cdf3_1738726357_3.jpg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4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만나 730조 원 규모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력을 논의했다 


1597966bf9e5fc29024c9deabfd315a7_1738727258_77.jpg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회동을 마친 뒤 나란히 이동하고 있다. 

이날 최 회장과 올트먼 CEO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반도체 분야와 

인공지능(AI) 협력 등의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


83f0e17ae222437e4707dc32dbb8fe02_1738727763_2.jpg

 

83f0e17ae222437e4707dc32dbb8fe02_1738727782_41.jpg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 합병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57)이 1, 2심에서 19개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검찰의 무리한 기소와 항소에 

대한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법조계에선 검찰의 공소권 남용을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검찰 안팎에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소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될 경우 검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07fc6f11f2a705290ea4228f2e7ba4aa_1738981273_28.png

 

"검, 상고 강행"

징계 피할려고 상고 했나? 

ecd1659c86649619ff61e663ff7fc6de_1739409904_2.jpg

 

ecd1659c86649619ff61e663ff7fc6de_1739409935_83.jpg

 “중, 한국 텃밭 침해”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이래 지속적으로 미국의 견제를 받아 온

중국이 ‘트럼프 영향권’에서 상대적으로 벗어난 유럽과 동남아

시장을 본격적으로 넘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텃밭이었던 이곳 배터리,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이 공세를 확대하면서 한중 각축전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더해 글로벌 각지에서 중국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치러내야 하는 부담까지 안게 됐다.

                                                  --2025, 2, 13--


60bddd2652116e07d10b1a754d89ee49_1739859961_09.jpg

 

60bddd2652116e07d10b1a754d89ee49_1739859991_74.jpg

 

        "원전, 방산, 통상" 리더 공백으로 시들고 있다

 

탄핵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팀 코리아’로 해외 시장을 개척해 왔던

원전·방산 등 주요 산업마저 리더십 공백으로 흔들리고 있다.

탈원전 폐기 이후 연달아 수주 낭보를 올렸던 원전은 미국 등 외국

경쟁 기업들에 밀리면서 유럽 시장에서 주도권을 내주고 있다.

원전만큼이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방산 수출도 독일, 프랑스 등

전통의 방산 강국과의 외교전에서 뒤처지는 형국이다.

                                                            --2025, 2, 18--



a4a7ec5ec431aa773ad518986e4dd97a_1742274759_31.jpg

 

a4a7ec5ec431aa773ad518986e4dd97a_1742274790_8.png

 

ㅡ이병찰 창업주 

  '1983년 도교 선언'

  초밀도 집적회로 투자선언

ㅡ이건희 선대회장

  1993년 '프랑크프루르트 선언'

  '마누라와 자식만 빼놓고 다 바꾸라'

  휴대폰 15만대 싯가 500억원 상당 소각 

ㅡ이재용 회장 

  '사즉생'의 각오로 새출발' 

  위 사진 글 참조  



19de5bcea532e79d1eba9faf12e2adaf_1742370178_3.jpg

 

​"책임지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삼성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지금이라도 상고를 취소하시오, 


964d9a5cf3660f3e4ba94fdceb008b89_1740135484_3.gif

 


                  <검찰의 기계적 상고?>


1, 2심을 거치면서 이 사건의 사실관계에 대한 사법적 판단은 끝났고,

상고심은 판결 과정에서 헌법이나 법률 등을 어겼는지만 따져보게 된다.

4년 5개월에 걸쳐 두 개의 재판부가 꼼꼼하게 법리와 증거를 살펴

같은 결론을 내린 만큼 대법원에서 다른 판단이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사건을 수사하고 기소했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사법부 판단을

존중한다”며 사과를 했다.

그럼에도 검찰이 기계적 상고를 했다.

형사상고심의위원회에서 ‘상고 제기’를 권고했다지만, 누가 참석했고 어떤

논의가 오갔는지도 일절 공개되지 않았다.

                                                    2025, 2, 10.

                                                    동아일보 사설 



6 Comments
미카엘 02.04 14:33  
<수사 지휘자>
2019년 8월 이복현 현 금융감독원장이 서울중앙지검으로 부임하면서 분식회계보다
부당 합병 의혹에 수사력을 집중하기 시작했다.

법조계에선 국정농단 당시 이미 수사가 마무리된 부당 합병 의혹에 대해 다른 혐의를
적용해 다시 수사하는 것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이 과정에서 2020년 5월 이 회장을 불러 조사하기까지 1년 5개월 걸렸고, 무리하게 수사를
확대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당시 검찰총장은 윤석열 대통령이었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분식회계 수사를 지휘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중앙지검 부장검사였다.

                                                  --송유근 기자--
미카엘 02.04 14:43  
<반도체 세계 1위>
ㅡ설계 1위.........미국
ㅡ메모리 1위......한국
ㅡ위탁생산 1위...대만
미카엘 02.04 14:52  
<반도체 생산 순위>
ㅡ1위......대만
ㅡ2위......미국
ㅡ3위......한국
ㅡ4위......중국
ㅡ5위......일본
ㅡ6위.......EU
ㅡ7위......싱가포르

기술 격차가 미세해 언제든지 순위가 빠뀔 수 있다.
미카엘 02.04 15:06  
<주 52시간 근무제>
반도체 연구 분야에서 일하는 고소득 인력에 한해
주 52시간제 적용 배재를 허용할 필요성이 있다.
미카엘 02.04 15:16  
<동방의 등촉, 동방의 횃불>
Kㅡ드라마
Kㅡ팝숑
Kㅡ뷰티
Kㅡ푸드

KㅡAI (희망 사항)
미카엘 02.07 11:49  
<정치권만 아니였으면...>
지난 가을, 노마 히데키(野間秀樹) 전 일본 도쿄외국어대 교수는 그의 역저 ‘K팝 원론’에서
21세기 인류가 향유하는 새로운 예술이 K팝이라고 평가했다.
K팝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이 사이버 공간에서 함께 춤을 추고 노래하는 열린 예술이다.
BTS의 ‘피 땀 눈물’은 현재 유튜브 조회수 10억 뷰에 이르렀다.

자랑스러운 우리 국력(國力)이며 국격(國格)이다.
국민을 갈라치기 하며 서로 발목 잡는 정치만 아니었으면 대한민국은 이미 세계를 이끌고 있지 않았을까?

                                                                                                                      --김도연 칼럼--

 주일

 오전 6시~12시 30분

 

 

 

 오후 4시~ 7시

 

 

 평일

 오전10시~12시

 

 

 

 오후2시~20시

 

 

 휴무

 월요일/목요일/공휴일

 

 

 

 

 

 

 TEL

 064) 738-6123

 

 

 FAX

 064) 738-6122

 

 

 E-mail

 lover4826@naver.com

 

  • 오늘 방문자 317 명
  • 전체 방문자 611,005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