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생존 가이드

홈 > 참여공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AI 시대 생존 가이드

미카엘 3 17
e89536b31843c916ee333b5b0014dddc_1758082131_46.jpg

 

e89536b31843c916ee333b5b0014dddc_1758082150_45.jpg

 

e89536b31843c916ee333b5b0014dddc_1758082172_34.jpg


         “가르칠 교사 없는데 AI 강국 가능할까”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정작 교육

현장에선 AI를 가르칠 교사 부족으로 AI 교육에 차질을 빚고 있다.

올해부터 ‘정보’ 과목은 중학교에선 수업 시간이 2배로 늘었고, 고등학교에선

고교학점제 과목으로 개설됐다.

 

하지만 컴퓨터 기초 교육조차 어려울 만큼 ‘정보’ 교사가 턱없이 부족하다.

지난해 경기, 대구, 세종을 제외한 14개 시도에서 ‘정보’ 교사는 학교당 평균

1명도 되지 않았다.

지역에선 교사 1명이 10개 학교를 돌며 수업하거나 비전공자가 수업을 맡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전국에 컴퓨터교육과가 설치된 사범대는 9곳뿐이고 한 해 정원은 193명에 그친다.

최근 5년간 컴퓨터교육과 정원은 10명 남짓 늘어 사실상 동결된 상태였다.

교직 과정을 운영하는 40개 대학 컴퓨터 관련 전공 정원을 합쳐도 한 해

434명이 배출된다. 이들이 모두 교사로 임용되는 것도 아닌 데다 5679곳에

달하는 전국 중고교 수에 비해 태부족한 상황이다.


혁신적인 AI 기업이 속속 탄생하고 있는 중국은 2001년부터 초등학교 ‘정보’

교육을 시작했지만 우리나라는 2019년에야 ‘실과’ 과목 내에서 일부 다루기 시작했다.

최근 중국 베이징시가 AI 전문 교사 100명, 핵심 교사 1000명을 순차적으로

양성하기로 하는 등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AI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2027년까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기술 분야에서

인력 6만 명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했다.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하고, AI 고속도로를 까는 등 인프라가 구축된다고

한들 이를 움직일 인재가 없다면 AI 강국 도약은 헛구호가 될 것이다.

초중고교 AI 교육을 강화하고 교사 양성에 과감하게 투자해 AI 강국의 뼈대부터

세워야 할 것이다.

                                                      --2025, 9, 17--                                   

 

3 Comments
미카엘 09.17 13:17  
AI 뒤지면 3류 국가로 추락한다.
미카엘 09.19 18:48  
최근 세계 AI 모델을 평가한 지표에서 우리 모델이 11위와 14위를 차지하는 등
희망적인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에게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속에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지금의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을 만들어 낸 성공 경험이 있다.
                                                                                --동아시론--
미카엘 2시간전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 통과>
삼성전자가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 12단 제품의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 마이크론에 이어 삼성전자가 세 번째로 엔비디아에
HBM3E를 공급하게 됐다.

 주일

 오전 6시~12시 30분

 

 

 

 오후 4시~ 7시

 

 

 평일

 오전10시~12시

 

 

 

 오후2시~20시

 

 

 휴무

 월요일/목요일/공휴일

 

 

 

 

 

 

 TEL

 064) 738-6123

 

 

 FAX

 064) 738-6122

 

 

 E-mail

 lover4826@naver.com

 

  • 오늘 방문자 1,718 명
  • 전체 방문자 861,642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