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 탄핵 진행 상황(제1편) ***

홈 > 참여공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 윤 대통령 탄핵 진행 상황(제1편) ***

미카엘 20 218
c54f8349e9b93864a80cdf4817f76e33_1735870182_44.jpg

 

​"헌재 8인 체제 출범"

(대법원장추천 3, 국회여야추천 2, 문 대통령추천 2, 윤 대통령추천 1) 


 

​ "8인 체제에서 심의할 안건" 

ㅡ12.3 비상계엄 선포 행위

ㅡ계엄포고령 1호 발표행위 

ㅡ구.경찰동원 국회 방해 행위

ㅡ영장없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압수수색 등 

 

efeae96646bc90411f2f0501ab56a3de_1736089316_69.jpg

 

"윤 대통령 탄핵 수명 재판관"

(정형식, 이미선)



수명재판관이란 헌법재판소에서 특정 사건이나 

사안을 맡아 조사, 청취, 기록 등 절차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재판관을 말한다. 


이들은 특정 사건의 심리를 보조하며, 사건의 세부 

사항을 정리해 재판소의 결정을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0, 증거와 자료 수집 

0, 당사자의 의견 청취

0, 재판관들의 최종 결정 보조 ​

7a28d81c18ac2cf8e603b2794940c901_1735804778_88.jpg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계선(55·사법연수원 27기), 조한창(59·〃 18기) 재판관을 
임명하면서 ‘8인 체제’가 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한 ‘속도전’에 돌입했다. 
신임 재판관들은 2일 취임식 뒤 재판관회의에 참석하는 등 
탄핵심판 절차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3일엔 2차 변론준비기일이 열린다.

현재 헌재에 계류 중인 탄핵심판 사건이 10건이나 되는 점은 

부담이지만 사건 심리에 필요한 법적 정족수(7인)를 충족해

정당성 논란까지 해소한 만큼,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을 최우선으로 주요 탄핵심판 사건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 탄핵 인용 여부에 대한 결론은 늦어도 4월까지는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 사건의 경우 접수 91일 만에 

‘8인 체제’에서 탄핵 인용 결정이 나온 바 있다. 


                                                            --2025, 1, 2.-- 


d3d65f90fdf728feeb4e11e1afea3dea_1736087376_38.jpg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소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준비기일에선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측이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제외하는 것을 두고 격한 공방을 벌였다. 


국회 측은 “헌재가 형법 위반 여부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이라며 탄핵소추 사유에서 첫 번째로 지목된 내란죄 부분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측은 “내란죄를 쓰지 않는다면 탄핵소추 자체가 잘못된 것”

이라고 격하게 반발했다.


이날 국회 측은 “형법을 위반한 사실관계와 헌법을 위반한 사실관계가 

사실상 동일하다”며 “자칫 헌법 재판이 형법 위반 여부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헌법 위반 사실관계로 다투고 주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야 속내가 뻔하다. 

여당은 심리리를 늦출려고만 하고, 야당은 속전 속결로 진행할려고만 한다. 

헌재는 180일 이내에 인용아니면 기각 판결을 해야한다. 

탄핵이 인용 된다면 2개월 이내에 대선을 치르게된다.

그 이면에 야당 특정 예비후보의 대법원 확정 판결 문제가 큰 변수로 기다리고 있다. 

거기에다 오는 4월이면 재판관 2명이 퇴임, 다시 6인체제가 된다.     

260cbbc1b8e0a1cb6c157fb691708559_1736131213_44.jpg

 

국민의힘 서지영 원내대변인은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겨냥해 

“조기 대선을 이끌겠다는 의도로 중요한 소추 내용 중 하나를 

스스로 철회했다”고 주장했다.


                                  

cd684e3b5ad38b462ff5c7dda9242d08_1735812771_38.jpg

 

윤 대통령은 임기 초부터 극우 유튜버들을 취임식에 초청하는 등 

밀접한 관계를 이어왔다. 

이들 극우 유튜버는 지난해 총선 결과를 두고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을 요구해 왔다. 

   ​                                                                                                                --신나리. 고도예 기자--


56d5551f9592d9829b59504931fa18e4_1735960879_51.jpg

​공수처와 경호처의 대치 

 

56d5551f9592d9829b59504931fa18e4_1735960953_16.jpg

 

​씨나리오별 전망 


56d5551f9592d9829b59504931fa18e4_1735961013_24.jpg

 

​진보진영 


56d5551f9592d9829b59504931fa18e4_1735961073_86.jpg

 

​보수진영 


9d2948b9624d234e856e83fb0e8a3432_1736033803_97.jpg

 

‘2025 경제계 신년 인사회’


   세계 IT산업의 일본행 

ㅡ마이크로 소프트(MS)

   3조9000억원 

ㅡ오라클

   10년간 11조원 

ㅡ아마죤

   23조 3000억원을 일본에 투자한다. 


1990년대 삼성전자 등 한국에 밀려 쇠락의 길을 

걷던 일본이 부활의 날개를 펼쳤다. 


한국은 정치적으로 불안전하고 규제가 심하다는 평가다. 

IT(정보기술)의 AI(인공지능)와 자율 주행 등에서 

일본의 하청 업체로 밀려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9c24e683d6862a42867afbcc03c50a1e_1736218952_64.jpg

 

블링컨 美국무, 계엄사태후 첫 방한 “한미동맹 흔들림 없어”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6일 오후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 외교장관 회담 후 포옹하고 있다.

 계엄 사태 이후 처음 방한한 블링컨 장관은 “한국의 친구로서 미국은 

한국 민주주의의 저력을 완전히 신뢰한다”고 말했다. 뉴시스


260cbbc1b8e0a1cb6c157fb691708559_1736131391_18.jpg

 

aceb01597077978f677b6ba371ebfafb_1736131789_18.jpg

 ​                   <김용현 "공소장">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재판에 넘기며 “윤석열 대통령 등과 순차 공모해 국헌 문란의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국민의 대의기구인 국회를 봉쇄하고 역시 

헌법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장악해 관계자들을 영장 없이 

체포·구금하려고 시도하는 등 내란죄를 구성하는 ‘국헌 문란 목적’의 

‘폭동 행위’를 일으켰다고 결론 내린 것이다.

                                                --공소장 서두--



c76c24747cb3d35c3e4fd6eb713a770e_1736312490_98.jpg

 

c76c24747cb3d35c3e4fd6eb713a770e_1736312529_94.jpg

 

c76c24747cb3d35c3e4fd6eb713a770e_1736312569_96.jpg

 

법조계 “서둘러 특검 도입해야”


법조계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해 통과시킨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이 윤 대통령 수사에 걸림돌이 됐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윤 대통령 측이 검수완박법을 근거로 “공수처는 적법한 수사기관이 아니다”라며 

수사를 전면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조계에선 공수처가 윤 대통령 사건을 경찰로 재이첩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현 형사소송법과 공수처법 등을 따져보면 검찰은 기소권이 있지만 내란죄 수사권이 없다. 

공수처도 내란죄 수사권이 없어 직권남용 관련 범죄로 내란 혐의를 입건해 윤 대통령을 

수사 중이다. 

유일하게 내란죄 수사권이 있는 경찰은 윤 대통령 사건을 공수처로 이첩하고 

체포영장 집행 등에 조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허동준, 구민기, 이상환 기자--


1e94d27ca88365b5c507528021bc42df_1736396103_13.jpg

 

"쌍특검법 폐기"


이날 오후 열린 본회의에 재적 의원 300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내란 특검법은 찬성 198표, 반대 101표, 무효 1표로 부결됐다. 

김건희 특검법은 찬성 196표, 반대 103표, 무효 1표로 부결됐다. 


야권 의원 192명 전원이 쌍특검에 찬성표를 던졌다고 가정할 경우 

여권 이탈표는 내란 특검 6명, 김건희 특검 4명이다. 


국민의힘은 권성동 원내대표가 쌍특검법에 찬성 의사를 밝힌 

김상욱 의원에게 “당론에 따르지 않을 경우 자진 탈당해야 한다”고 

직접 언급하는 등 이탈표 단속에 총력을 기울였다.


67936df0d0dc4b6bfdd75f38f42bdfe0_1736556584_03.jpg

 

"부렵다"

9일 워싱턴 국립대성당에서 열린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장례식에 

전현직 대통령 5명이 모두 참석했다. 

카터 전 대통령의 전임자 겸 정적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이 생전 

작성한 추도사를 이날 포드 전 대통령의 아들 스티븐이 대독했다. 

5명의 전현직 대통령이 이 추도사를 들으며 미소 짓고 있다. 


​  <우리 대통령>

ㅡ하와이 망명

ㅡ5.16군사정변으로 하야 

ㅡ10, 26사건, 시해

ㅡ12.12쿠테타 하야


ㅡ12,12쿠테타, 감옥. 

ㅡ비자금수수 감옥

ㅡ아들 감옥

ㅡ아들 감옥


ㅡ탄핵 기각  

ㅡ비자금수수 감옥

ㅡ국정농단 탄핵 

ㅡ홍준표 누르고 당선 

  

ㅡ계엄선포 탄핵 진행 중 


93f0688711e9398c60cfd925ce61958b_1736557354_46.jpg

 

관저를 지키던 박종준 경호처장이 공조수사본부의 윤 대통령 2차 체포 

집행을 앞두고 10일 사직서를 제출한 뒤 경찰에 전격 출석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직서를 수리하며 

“여야가 합의해 위헌적인 요소가 없는 특검법을 마련해 달라”고 밝혔다. 


f0374646ca94d1611ee0ef85a729038c_1736745098_16.jpg

 

​지난해 12월 12일 대국민 담화문 발표 때 모습 


f0374646ca94d1611ee0ef85a729038c_1736745129_9.jpg

 

         ​<헌법과 공수처법의 충돌?>


0, 대통령은 재직 중 내란죄와 외환죄를 범하지 않는 한

   소추 받지 않는다고 선언하고 있다.

0, 대통령은 국회와 선관위에 무장 군인을 투입해 내란죄

   혐의로 탄핵 절차가 진행 중이다.

0, 공수처법에 대통령에 대하여 재직 중 직무와 관련된 위법

   행위에 대하여 수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0, 헌법과 공수처법의 충돌이다.

0, 공수처는 내란죄가 아닌 직권남용 혐의로 수사 중 이라고

   하고, 대통령 변호인단은 수사권이 없다고 주장한다.

 

탄핵절차, 내란, 직권남용 등 명칭만 달리했을 뿐 국회와

선관위에 무장 군인을 투입한 경위와 그럴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었느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8fdb002e9a0f14e1c31436bc50470075_1737012921_7.jpg

 

8fdb002e9a0f14e1c31436bc50470075_1737013062_18.jpg

 

91df56c22fcdd48143ce8bfef9d6ec1d_1737013407_16.jpg

 

제주교구 시국미사 

천주교 제주교구(교구장 문창우 비오 주교)는 12일 오후 7시30분 

중앙주교좌성당에서 ‘윤석열 탄핵과 대한민국 정의와 평화를 위한 

시국미사’를 거행했다. 

이날 미사에는 제주교구 소속 사제 40여명과 신자 300여명 등이

 ‘윤석열을 탄핵하라’, ‘윤석열 즉각체포’라고 적힌 손피켓을 가지고 참석했다. 


827712cccbd4c6aad6e82f336146c9f5_1736828420_55.png

"경호처 지휘부 균열"

윤석열 대통령이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대통령경호처 간부들에게

‘칼이라도 써서 막으라’는 등 무력 사용을 주문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 측에선 “허위 사실”이라고 부인했지만 경호처는 ‘무력 사용’

지시에 반발하며 김성훈 차장(처장 직무대행)의 사퇴를 요구해 대기발령된

경호3부장 A 씨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내부 기밀을 유출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지키기에 나선 ‘강경파’ 지휘부에 대한 내부 반발이 커지면서

경호처 균열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5, 1, 14.--

fd94ca896d7e05ab9a2a038e2cc8de3f_1736863234_39.jpg

​경호처 직원들의 임무는 경호 대상자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는 것이지 

영장에 따른 체포를 막는 것이아니다.


9443916c1af25fc031ceb6feecc0936c_1736939225_26.jpg

​국회 탄핵소추단장(정철래)와 윤갑근 변호인단 주장  



994bd472edad04c8cfbcff627b0c0cc4_1736997841_94.jpg

 

尹, 서울구치소로 

15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이 조사를 마친 후 

경호차량을 타고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12·3 비상계엄 선포 관련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10시간 40분 동안 조사를 받은 뒤 서울구치소에 구금됐다. 


                                                                    과천=사진공동취재단


c0c631007d75ae49e21745b3688143a6_1737003405_45.png

 

​윤 압송 10분 전

"아내와 토리(반려견) 만나고 가겠다"



        ​오늘의 신문 지면

ㅡ괁저 진입부터 체포까지 6시간 

ㅡ윤, 체포임박하자 "자진 출석"

ㅡ수갑 안차고 포토라인 피한 윤

ㅡ338호 조사실, 200여쪽 질문지

ㅡ정치권 반응-외신 긴급 타전

ㅡ한덕수 계엄 잘못됐다고 생각

ㅡ윤지지 집회 한남동서 과천으로 

                                    --동아일보 지면--


                             



94e94dd935d8f27489531c188ef5df45_1735972447_55.gif

 




       ​"국민과 세계가 지켜본 5시간....부끄럽고 창피하지 않나"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이라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지게 된 건

그동안 공수처의 세 차례 출석 요구를 모두 거부한 윤 대통령의 자업자득이다.

윤 대통령은 내란죄에 대한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가 체포영장을 청구한 것이나,

이를 법원이 발부한 것 모두 불법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법원이 공수처의 수사권을 인정해 체포영장을 발부한 이상 이에 응해야

하는 것이 법이 정한 절차다.

이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대통령이 경호 인력 뒤에 숨어 법질서를 유린하고,

“함께 끝까지 싸우자”고 선동하며 지지자들까지 방패로 내세웠다.


집권 여당은 대통령을 설득해 사태를 수습하기는커녕 수사기관과 법원 탓만

하고 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시도는 부당한

행위”라면서 “공수처와 정치 판사의 부당 거래”라는 말도 했다.

아무런 근거 없이 법원을 비난하는 게 여당 대표가 할 말인가.


공수처는 “경호처 공무원들의 경호가 지속되는 한 영장 집행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경호처로

하여금 체포영장 집행에 응하도록 명령할 것을 강력히 요구할 예정”

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신병 확보가 지연될수록 불확실성만 커질 뿐이다.

이미 외신들은 “한국의 정치 위기는 국회의 탄핵안 가결 후에도

그 기세가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한국의 리더십 공백 장기화가 한미 동맹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하기 시작했다.

정치 불안이 장기화하면서 국가신용등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재로선 악화 일로의 위기를 평화롭게 수습하는 길은 윤 대통령이

“법적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키는 방법밖에 없다.

소환에 불응하고 체포영장을 거부한다고 언제까지 법의 집행을 피할 수 있겠나.

지난 연말엔 난데없는 비상계엄 선포로 세계적인 망신거리가 되더니

이젠 정당한 체포영장 집행에 경호원들을 앞세워 버티는 ‘막장극’까지 연출하나.

대체 언제까지 이럴 건가.


                                          --2025, 1, 3. 동아일보사설 중에서--

 




20 Comments
미카엘 01.02 17:08  
2일 오늘 "체포영장"을 집행할 것 같다.

공수처 집행관들이 정문을 뚫고 관저 현관까지 진입했으나 경호관들의 저지로
5시간 30분 대처하다다 철수했다. 
영장 집행 가한이 6일 월요일까지다. 오늘 아니면 내일 다시한번 시도할 것 같다.
미카엘 01.02 19:05  
<체포영장에 형사소송법 적용 재한 단서 명시>
ㅡ110조 군사상 비밀이 필요한 장소는 책임자 승낙 없이 압수수색할 수 없다.
ㅡ111조 공무원이 소지한 물건을 본인 또는 소속기관이 직무상 비밀로 신고하면
          소속기관이나 감독기관의 승낙 없이 압수할 수 없다.

영장발부 판사가 '위 두 조항 적용을 예외로한다'는 단서를 명시 발부했다.
미카엘 01.02 22:22  
<공수처의 내란죄 수사권>
"공수처는 내란죄에 대하여 수사권이 없다"고 대통령측 변호사는 주장을 한다.
공수처는 "직권 남용"에 대한 수사를 하다가 알게된 범죄 즉 내란죄에 대하여
수사할 수 있다는 법리를 편다.
미카엘 01.02 22:37  
<꿈 같은 이야기>
ㅡ하야
ㅡ대국민 사죄
ㅡ일정기간 수형
ㅡ가석방
ㅡ복권
ㅡ자연인 복귀
미카엘 01.02 22:54  
<향후 탄핵정국>
ㅡ체포영장 집행 이후 48시간 이내에 구속하던가 아니면 석방해야 한다.
ㅡ체포영장은 1주일 이내에 집행해야 한다.
ㅡ헌재는 180일 이내에 인용,기각 판결을 해야한다.
ㅡ인용이 된다면 2개월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한다.
--------------------------------------------
ㅡ기각이 된다면 즉시 직무에 복귀하고 관련 구속자는 석방된다.
미카엘 01.04 13:14  
<영장집행 대치장면 세계에 보도>
ㅡ미국 CNN,
ㅡ영국 BBC
ㅡ일본 주요 언론
ㅡ영국 가디언
“서울에서 극적인 드라마가 펼쳐지고 있다”며
 대통령에 대한 1차 체포 시도 현장을 실시간 속보로 전했다.
미카엘 01.04 21:58  
<이성계의 꿈>
임금이 되기 전 양을 타고 가는데 양 등에서 넘어지지 않기 위하여 뿔을 잡았다고 한다.
뿔이 빠져버리더란 것이다. 다음엔 꼬리를 잡으니까 꼬리까지도 빠져버리더란 것이다.
다음 날 꿈풀이에 용하다는 무학대사를 찾았다.
꿈 이야기를 하자 일어서서 큰절을 올리더란 것이다.
‘羊’에서 뿔이 빠져버리고 꼬리까지 빠져 버렸다면 ‘王‘자만 남는 것이 아니옵니까. 

ㅡ주술정치
ㅡ임금왕자
ㅡ과대망상
미카엘 01.05 19:58  
<서정주 국화 옆에서>
상사에게 잘 보여야
승진하고 출세하는 공직사회의 문화를 청산하는 계기가 도래한 것 같다.
이번을 계기로
공직자는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헌신하는 새로운 문화 태동기였으면 좋겠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하여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하여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미카엘 01.06 18:05  
ㅡ도사
ㅡ법사
ㅡ보살
ㅡ무당
ㅡ점쟁이
미카엘 01.07 20:48  
<탄핵과 내란>
ㅡ탄핵.....징계의 일종이다.직무에서 배재 시키기 위한 조사 활동이다.
ㅡ내란.....위법 행위를 가려 형사상 책임을 묻기 위한 수사 활동이다.

  같은 것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같다?
미카엘 01.07 20:58  
<박종준 경호처장>
ㅡ3차례 출석요구에  불응했다.
ㅡ체포영장 청구를 검토 중이다.
ㅡ'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고 있다.

정당한 '법집행을 막는 것이 경호의 범주에 속하느냐'의  문제가 제기된다.
미카엘 01.09 13:35  
<공수처 체포영장 재발급>
ㅡ체포조 1차 때 보다 두배 투입 계획.
ㅡ조폭잡는 강력계 형사 기동대 투입  검토
ㅡ드론, 헬기, 장갑차, 레커차 등 특수장비 투입 검토.

경호처 간부 및 요원 등 현행범 체포 검토.
평일이나 야간 집행도 검토.
미카엘 01.09 17:02  
<여론조사의 허와 실>
통상 010 전화번호 10만 개를 발생시켜 걸면 2만 개 번호는 결번이다.
ARS로 건다면 8만 명 중에 통화 중 혹은 부재중이거나, 응답 거절인 경우가 줄잡아 6만 명이다.
“여보세요”라며 통화를 시작한 것이 2만 명쯤이다.
1000명이 끝까지 답변했다고 가정할 때, 한국의 응답률은 2만 명을 기준으로 5%가 된다.
하지만 실제 접촉 시도한 8만 개 번호를 기준으로 보면 1.25%다.
국제 기준(AAPOR)을 쓰는 미국은 1.25%를 적용한다.
통계학자들 권유처럼 우리도 “국제 기준으로 바꾸겠다”는 곳이 나올 때가 됐다.
아시아투데이 조사를 국제 기준에 맞춰 보면 0.89%에 그친다.

                                                                  --2025, 1, 8. 김승련 논설위원--
미카엘 01.13 14:31  
<변론 기일 불출석>
헌재법 25조에 "탄핵심판 당사자가 변론 기일에 출석하지 않으면 기일을 다시 지정하고,
다시 정한 기일에도 출석하지 않으면 그대로 심리가 진행된다"
1차 변론 기일은 14일이고, 2차 변론 기일은 16일로 2차 변론 기일부터는 출석여부 불문
심리는 진행된다.

불출석 이유가 황당하다.
변론 기일 출석은 자신을 위한 출석이다. 변명할 여지가 없다는 말과 같다.
"관사에서 나와 헌재법정에 출석, 다시 관사로 들어갈 때까지 체포영장 집행을 않겠다"는
보장을 하라는 말고 같다.
미카엘 01.13 16:30  
<흔들리는 경호처>
0, 박종준 경호처장이 사직 연 2일간 체포영장 집행방해 관련 조사를
  받고 있다.
0, 경호처 내부망에 한 간부가 체포영장 집행 방해는 공무집행 방해에
  해당할 수 있고, 다중이 위력을 보인 경우 “특수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할 수 있다는 글을 올렸다.
0, 11일 김 차장이 전산 담당자에게 해당 글 삭제를 지시하여 삭제,
  논란이 커지자 12일 다시 복구했다.
미카엘 01.13 19:19  
<경호팀 배치>
'헌법재판관' 개개인에게 경호팀 배치는 잘 하는 일입니다.
미카엘 01.14 13:36  
<윤측 정계선 재판관 기피신청>
청문회 당시 정 재판관이 12, 3 계엄선포에 대해 "국회를 물리력으로 봉쇄하고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방해
했다면 위헌적 행위"라고 발언한 것은 탄핵심판에 대해 미리 예단한 처사란 점 등을 들어 기피신청을 냈다.
법조계에선 시간 끌기용이란 비판이 나왔다.
미카엘 01.14 15:13  
<더닝 크루거 효과란?>
ㅡ미국 심리학자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의 성을 딴 심리학 용어로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을 과대 평가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ㅡ더닝 크루거 효과는 무지하고 무능할 수록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메타인지
  능력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자기 능력을 과대평가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ㅡ이를 피하려면 충분히 공부하고, 그 지식을 의심하며, 다른 의견에 열려 있어야 한다.

시대착오적인 비상계엄도 더닝 크루거 효과로 설명 할 수 있다.   
                                                                                          --우경임 논설위원--
미카엘 01.15 23:27  
<계엄선포의 망상>
ㅡ2024년 3월 경 부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ㅡ국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계엄선포가 필요하다.
ㅡ이 때 "비상대권"이란 말이 등장한다.
미카엘 01.16 15:42  
<극우 유튜브에 중독된 대통령>
청소년뿐이랴. 중노년층도 뇌 썩음에 유의해야 할 세대로 꼽힌다.
가뜩이나 40대부터 뇌 전두엽이 위축되는 게 자연의 섭리인데,
당장 편하다고 유튜브 삼매경에 빠져들면 세상을 객관화할 단서
자체를 잃어버리게 된다.

극우 유튜브에 중독돼 부정선거 음모론에 빠져 버린 윤석열 대통령의
상태가 이를 잘 설명해준다.
SNS 중독에 의한 뇌 썩음이 비상계엄에 이르는 오판을 낳고 그것이 온
나라를 흔들어버렸다.
여기에 중노년이 흔히 접하는 알코올과 고혈당, 스트레스는 전두엽을
더욱 위축시켜 감정 조절 장애와 인지 능력 후퇴를 가져온다.
                                                                              --서영아 콘테츠 기획본부--

 주일

 오전 6시~12시 30분

 

 

 

 오후 4시~ 7시

 

 

 평일

 오전10시~12시

 

 

 

 오후2시~20시

 

 

 휴무

 월요일/목요일/공휴일

 

 

 

 

 

 

 TEL

 064) 738-6123

 

 

 FAX

 064) 738-6122

 

 

 E-mail

 lover4826@naver.com

 

  • 오늘 방문자 854 명
  • 전체 방문자 549,486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