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2기 정부 출범 미카엘 8 67 01.21 20:10 이방카 여사가 들고있는 성경 밑에 손을 두고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 입회하에 선서를 하고 있다. 트럼프, 취임 첫날에만 행정조치 46건 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인 20일(현지 시간) 워싱턴의 실내 경기장 ‘캐피털원아레나’에서 지지층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방정부 공무원의 신규 채용을 제한하는 내용의 행정조치에 서명한 뒤 이를 들어 보였다. 그는 이날 반(反)이민, 화석에너지 장려 등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상징하는 행정조치 46건에 서명했다. 또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추진된 행정조치 78건을 철회했다. 워싱턴=AP 뉴시스 취임 축하 무도회에서 '에워포스원'을 본쁜 케이크를 자르려고 하고 있다. 부인, 멜라니아 여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전날인 19일(현지 시간) 워싱턴의 대형 실내 경기장 ‘캐피털원아레나’에서 열린 취임 축하 행사인 ‘마가(MAGA) 집회’에서 “미국이 직면한 모든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역사적인 속도와 힘으로 행동하겠다”며 “미국의 힘과 번영, 존엄과 자부심을 회복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는 취임 첫날인 20일 반(反)이민, 중국 견제, 화석에너지 장려 등에 관한 100여 개의 행정명령을 발동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색채를 일거에 지우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워싱턴=AP 뉴시스 "15개 부처 장관" 평균 나이 59,5세, 비 백인 3명(라틴계 2명, 흑인1 명) "채양이 너무 길어서....." 전직 대통령들께서 지켜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0일(현지 시간) 취임 행사로 열린 군 장병과의 무도회에서 주한미군 평택 미군기지(캠프 험프리스) 장병들과 영상통화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은 어떻게 하고 있느냐”며 “나는 그와 매우 좋은 관계로 발전시켰지만 그는 터프한 녀석(cookie)”이라고 했다. 유튜브 캡처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북한 위협에 대해 “나는 그 문제를 해결했다”고 언급하며 1기 때 북-미 대화를 통해 끌어낸 북한의 핵·미사일 모라토리엄(실험 중단) 조치를 북핵 문제 해결로 보는 인식을 드러냈다. 향후 북-미 대화의 초점이 비핵화보단 핵 동결이나 긴장 완화에 맞춰질 수 있다는 점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현지 시간) 취임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왼쪽)이 워싱턴 백악관에서 밴스 부통령에게 장관 취임 선서를 한 뒤 연설하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취임 직후 전군에 배포한 메시지에서 “나는 미국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고 강조했다. 워싱턴=AP 뉴시스 현재 삼성전자(티후아나시)와 LG전자(누에보레온주)는 멕시코 지역에서 TV나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기아 등 자동차 업체들도 멕시코 북부 누에보레온주에 투자한 상태다. 캐나다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온타리오주에 배터리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비엠은 퀘벡주에 각각 배터리 소재 공장을 짓고 있다. <트럼프의 북한 핵 정책>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 국가라고 부르며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과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 취임 첫날 백악관에 입성한 뒤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는 나를 좋아했다. 나는 그를 좋아했고 매우 잘 지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이제 그는 핵 국가다. 우리는 잘 지냈다. 그는 내가 돌아온 것을 반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핵 국가’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트럼프 대통령의 ‘핵 국가’ 언급은 북한이 핵무기를 가졌어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미국의 오랜 기조에서 벗어난 정책 탈선이다. --2025,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