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대시위 미 전역 확산

홈 > 참여공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트럼프 반대시위 미 전역 확산

미카엘 14 398

d428086498bc8daf812b66d44e9bb4f3_1743996872_21.jpg

美 전역서 ‘트럼프 비판’ 시위 

5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시의회 앞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반대 시위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풍자한 

대형 풍선이 등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얼굴을 한 풍선에 군복을 입혀 그가 권위주의 통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의 의미를 담았다. 이날 시위대는 

연방정부 구조조정, 이민자 추방, 고율 관세 부과 등을 중단하라는 뜻에서 

“손을 떼라(hands off)”는 구호를 외쳤다. 게티이미지 

 

d8bf7362f1fed321bc10b13e4075240d_1743997387_12.jpg

 

미국 전역에서 1300여 건의 시위가 열렸다. 


d8bf7362f1fed321bc10b13e4075240d_1743997419_9.jpg


미국에서 꺼꾸로 매단 성조기는 '저항의 의미'로 여겨진다. 


 

5일(현지 시간) 미국 전역에서 연방정부 구조조정, 의료 예산 삭감,

글로벌 관세 부과 등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이날 워싱턴과 뉴욕 같은 주요도시와 

미국 50개 주에서 최소 1300건의 시위가 열렸다. 

진보 성향 시민단체 인디비저블(Indivisible)과 무브온(Move On) 등 

197개 단체가 참여했고, 시위 주최 측은 이날 전국에서 60만 명가량이 

시위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뒤 최대 

규모의 반대 시위였다”고 전했다.

                                                            ​--워싱턴 특파원 신진우--



389df2a4d9667b51ae001e4a5fbfc779_1744011791_59.jpg

 

* 중국............상호 관세 할인율 34%

* 유럽연합.....상호 관세 할인율 20%

* 베트남.........상호 관세 할인율 46%

* 대만.............상호 관세 할인율 32%

* 일본.............상호 관세 할인율 24%

* 인도.............상호 관세 할인율 26%

* 대한민국......상호 관세 할인율 25%

* 태국.............상호 관세 할인율 36%

* 스위스.........상호 관세 할인율 31%

                  

77432b3e863a082e465dae57dfcdefba_1744087244_69.png

 

관세 폭탄 조롱 ‘펭귄 밈’ 확산 

남극 일대의 펭귄들이 ‘관세 반대’ 피켓을 든 합성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남극과 가까운 호주의 외딴 무인도 

‘허드맥도널드’ 섬에도 관세를 부과하자 이곳의 펭귄들조차 관세를 조롱한다는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이 온라인에 등장했다. 사진 출처 ‘X’


77432b3e863a082e465dae57dfcdefba_1744087277_93.jpg

 

SNS에 티삿 올려

미 공화당서도 "이러다 내년 중간선거 완패" 우려.


bfdc346d6e98a7c1ff2e4710b11e3462_1744171549_2.jpg

 

"고래싸움에 새우 등터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한국의 대외

신인도가 흔들리고 있다.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2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고, 원-달러 환율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인 1473원으로 급등했다.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며 국제유가는 

4년 내 최저치로 떨어졌다.



04f8d8dfe4a4871975545149921b2fdc_1744332838_88.jpg


트럼프 정책으로 스트레스 받는 한국 기업들 


 

19fc3bb5e69967f26f8223305fa2560d_1744581259_12.jpg

 

“트럼프도 두손 든 美 국체투매”

------------------------


위험자산인 주식과 안전자산인 채권은 통상 반대로 움직인다.

하지만 이번엔 달랐다.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아 치우는 동시에 가장 안전하다던 미

국채도 대량으로 내던졌다. 대규모 국채 매도는 자칫 정부 존립을

뒤흔들 수 있는 ‘폭탄’이다. 2022년 영국의 리즈 트러스 총리를

취임 44일 만에 사임하게 만든 직접적인 계기도 국채 투매였다.

재원 대책 없이 감세 정책을 내놓자 투자자들이 영국 국채를

대거 매도했고, 결국 국채 가격과 파운드화 가치가 폭락해 위기를

맞았다.


ㅡ미국은 연방 정부 부체가 5경2500원이다.

ㅡ지난해 이자로만 1300조 원을 지불했다.

ㅡ국체 가격이 떨어지면 금리가 오른다.

ㅡ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급증한다.

 

ㅡ상호관세를 90일간 연기하는 원인이다.

ㅡ트럼프가 항복한 모양세다.

ㅡ11일 스마트폰, 노트북 등 20개품목 상호관세를 

  면재하겠다고 2차 항복 했다.  

 

                                            2025, 4, 12.

                                            횡설수설  

 

835643a7609a30bedfd8ecc07053145e_1744689271_08.jpg


 “미-중 관세 전쟁”



835643a7609a30bedfd8ecc07053145e_1744689336_7.jpg

 

835643a7609a30bedfd8ecc07053145e_1744689399_17.png

 

 미-중의 비관세 통상전쟁 


5321d4ed5da5958b6f39d6c2484c6c01_1744775428_8.jpg

 

“트럼프 손 떼라” 하버드대 캠퍼스 인근서 시위 


미국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 지원금 중단’ 

압박에도 트럼프 행정부의 반(反)‘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정책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14일 밝혔다. 

약 800명의 교수진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처사가 “반민주적”

이라고 규탄했다. 같은 날 트럼프 2기 행정부는 22억9000만 

달러(약 3조2747억 원)의 지원금 지급을 중단하겠다고 맞섰다. 

12일 하버드대 캠퍼스 인근인 매사추세츠주 캐임브리지의 한 

공원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학 탄압을 비판하는 시위도 

열렸다. 

                                                          게티이미지 


71646cc589c9dc48527ef36ca7685615_1744872966_88.jpg

 


3f016b097a3113937cc6e06490e51ec7_1745029838_62.jpg

 

3f016b097a3113937cc6e06490e51ec7_1745029876_98.jpg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캠퍼스에서 19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정부 보조금 지급 중단 및 삭감 압박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 전역 60여 개 대학에 ‘반유대주의 척결’과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프로그램’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에 대한 비판 강도를 높이는 진보 진영에 대한 압박과 

보수층의 규합을 위해 대학들을 공격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시위대가 

“저항하자”는 문구가 적힌 깃발을 흔들고 있다. 

                                                                      버클리=AP 뉴시스

 

934721fb386b5b76c112aa7ec96ea0ca_1745208576_7.jpg

 

 “미국이 이상해져, 망할 것 같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19일 이날 플로리다주 잭슨빌에서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이르기까지 미 전역에서 700건

이상의 시위가 개최됐다.

5일 전국적으로 50만 명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을 규탄하는

‘핸즈오프(Hands Off·손을 떼라)’ 시위에 참여한 데 이어, 2주

만에 또다시 반트럼프 시위가 벌어진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

력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NYT는 진단했다


                                   --뉴욕: 임우선 특파원-- 

 

04038e333ceeaebde489e30cdb931801_1746097185_31.jpg

 

미국 1/4분기 마이너스 성장 

관세 폭탄으로 수입물가 오르기 전 사제기 

현상이 주 원인이라고 한다. 


28781a5c0cad2286b76178df86ceacb9_1747136313_8.jpg

 

28781a5c0cad2286b76178df86ceacb9_1747136339_12.jpg

카타르타 비행기 선물  

“전용기를 선물 받는 게 ‘미국 우선주의’냐.”(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민주당은 세계적인 ‘패배자(loser)’들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3∼16일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3개국을

순방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카타르로부터 대당 4억 달러(약 5600억 원)인

보잉 ‘747-8’ 항공기를 선물 받기로 했다. 

역대 미 대통령이 외국에서 받은선물 중 최고가다.




4c202cf69fdf4481ca134b6ba3fd6c3b_1747378916_09.jpg

 

            “카타르 국왕 빈 하마드 알사니”

중동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14일(현지시간)

카타르 수도 도하의 아미리디완 왕궁에서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과 1조2000억 달러(약 1678조 원) 규모의 경제 교류

서명식을 갖고 있다.

이 자리에선 미국 보잉사가 카타르항공에 최대 210대의 항공기를

판매하는 내용의 계약도 체결됐다.

                                             2025, 5, 16.



1c4137aa7931eef4b34f5884f9d1826c_1747629070_85.jpg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108년 만에 미국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했다.

세계 경제대국 미국이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최고 등급 지위를 잃은 것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2025, 5, 19. 


d74948a28d3a303eadaf11e7f63806ed_1748068962_34.jpg

 

 “트럼프, 세계적 지도자 맞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를 상대로 외국인 유학생

등록을 중단시키는 초강수를 뒀다.

하버드대는 “불법적 조치”라고 반발했다.


하버드대 외국인 학생은 6800명 선으로, 전체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한국 학생은 400명 안팎일 것으로 미 대학 정보 사이트는 추정하고 있다.

하버드대 외에 여타 7개 아이비리그 대학으로 확산된다면 수천 명의

한국 유학생이 잠재적 피해자가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지지층이 갖고 있는 외국인 거부감을 활용해 자국

대학 경쟁력의 뿌리를 흔드는 우를 범하고 있다.

2025, 5, 24.


03d3373f84394161a68163a4263cd563_1748071177_91.png

 

 

202a3d13d64c803f922f33feefaad60b_1749522374_79.jpg

 

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대규모 불법 이민자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대와 주 방위군이 대치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1992년 폭동 후 33년 만에 로스앤젤레스에

주 방위군을 투입해 시위대 진압에 나섰다.

그는 500명의 해병대원 배치도 추가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

14 Comments
미카엘 04.07 13:12  
<미국 시위 주요 쟁점>
ㅡ연방정부 구조 조정 반대
ㅡ의료 예산 삭감 반대
ㅡ관세 부과 등 반대가 주요 이슈다.
미카엘 04.07 14:01  
<트럼프 손때라 시위확산....>
ㅡ뉴욕 3대 주요 주가 지수가  일제히 10% 안팍 급락하면서 최악의 폭락장을 연출했다.
  이로 인해 이틀세 1경원에 가까운 시가 총액이 허공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ㅡ시위에 참석한 앨 그린 민주당 하원의원(텍사스)은 트럼프 탄핵을 발의하겠다고 했다.
ㅡ독일은 맨해튼 연방준비은행 지하금고에 보관중인 자국 금괴 1200t(3조 8000억원)을
  인출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미카엘 04.07 14:27  
<시위 신경 안 쓰는 트럼프>
ㅡ골프만 치고
ㅡ정치자금 모금'
ㅡ3선 출마를 꿈꾸고 있다.
미카엘 04.07 16:24  
ㅡ기본관세
  5일부터 이율적으로 10%을 적용한다.
ㅡ상호관세
  9일부타 20%~25%까지 정용한다.
ㅡ각국 인상율
  우리나라 25%, 일본 24%, 중국34%, 댐만, 태국, 배트남 등
ㅡ미국 경제성장 전망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한다.
  고관세 부과는 장기적으로 볼 때 수입국 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석학들의 견해다.
미카엘 04.08 13:52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현지 시간) 방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면담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세계 주요국 대상 상호관세 발표 6일 만에
국내 통상 대표가 미국을 방문하는 것이다.
다만 일본이나 베트남은 정상급이 나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대화에
나서려 하고 있어 한국이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미카엘 04.09 13:17  
<국가 채무 1175조>
중앙 및 지방정부가 갚아야 할 빚도 50조원이 늘어난 사상 최대치인 1175조원이 됐다.
미카엘 04.10 07:08  
<상호관세 90일 유예>
ㅡ기본관세(보편)..........10%로 1개월 전부터 시행 중,
ㅡ상호관세(개별)...........9일부터 적용 예정이였으나 90일간 유예 우리는 25% 부과예정이였다.
ㅡ품목별 관세..............철강, 알미늄, 자동차 부품 등 으로 우리는 FTA체결로 무관세였으나  25%관세를 물어야한다.
ㅡ보복관세(중국.).........미-중간 관세 상호 84% : 84% 적용

  협상 포인트: 엘라스카 LNG 개발,조선업 참여로 품목별관세 조정을 협상할 수 있다.
미카엘 04.19 11:37  
<오늘이 4.19 제65주년>
ㅡ농민이 데모를 하면 나라가 망하고
ㅡ학생들이 데모하면 정권이 무너지고
ㅡ교수가 데모하면 탄핵을 브른단 말이 있다.
미카엘 04.19 11:48  
ㅡ중국 저가 상품들이 한때 미국을 덮쳤다.
ㅡ미 국민들이 저가 중국 샆을 찾느라 난리다.
ㅡ트럼프는 바쁜데 중국은 느긋하다.
ㅡ중국 상선이 미 항구에 입항하면 항만 사용료를 고가로 물리겠다고 한다.
ㅡ금리 인하를 않는다고 연준 의장 파월을 해임하겠다고 버른다.

  "틈세 시장?"
  우리 선박이 중국 상품을 싯고 입항하면 어떻겠습니까?
  그러다가 트럼프 눈밖에 나면...
미카엘 04.21 13:22  
<미국이 망할 것 같다>
한인 미국 방문객이 1년새 15% 급감했다.
국가별로는 콜럼비아 33%, 독일 28%, 스페인 25% 감소했다.
올해 관광 손실이 최소 90억 달러(11조1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봤다.
미카엘 04.21 14:50  
<미국 어디로 가나>
ㅡ현직 비판 않는 전직 대통령까지 나섰다.
ㅡ보조금 중단을 무기로 진보성향 대학들을 길들이려 하자 지식인
  들과 대학가가 들끓고 있다.
ㅡ이민자 추방 정책에 보수 성향인 대법원이 ‘정부는 추방을 중단
  하라’며 제지에 나서기에 이르렀다.
ㅡ연방정부 직원들을 대규모 해고하면서 관가 분위기도 흉흉하다.
ㅡ관세 인상으로 시민들은 물가 상승, 기업들은 대외 이미지 하락에
  따른 해외 영업 손실을 우려하고 있다.
ㅡ‘총체적 난국’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횡설수설--
미카엘 05.24 16:15  
<트럼프 주한 미군 감축>
주한미군 4500명을 괌에 배치계획을 월스트리트저날이 보도 했다.
주한 미군은 2만8500명이다. 
북한은 핵. 미사일 고도화에 이어 러시아 지원을 토대로 재래식 전력 현대화에 집중하고 있다.
미카엘 05.26 17:11  
<시진핑 무남독여 하바드 유학>
주요 외신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하버드대 유학생을 지목한 핵심 배경으로 하버드대와
중국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꼽고 있다.
중국공산당과 그 수뇌부가 하버드대에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자녀들까지 유학시키며,
미국의 각종 첨단 기술에 접근하고 친중국 여론까지 조성하려 든다는 것.

지난해 기준 중국인 유학생은 하버드대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약 20%를 차지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무남독녀 시밍쩌(習明澤·33)도 2010년대 초 가명을
사용하며 하버드대 학부를 다녔다.
하버드대에는 1928년 설립돼 중국학을 주로 연구해온 옌칭연구소도 있다.
그간 중국 등 아시아에서 받아들인 연구진이 2000여 명일 정도로 중국과 교류가 깊다.
미카엘 06.05 13:12  
<미국과 중국이 한국의 대선 결과를 두고 충돌>
최근 아시아 동맹국들이 안보는 미국과, 경제는 중국과 협력하는
‘안미경중(安美經中)’ 전략을 취하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3일 한국 대선 결과와 관련해 백악관 고위
당국자 명의로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공정 선거가 치러
졌다고 평가하면서도 “세계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중국의 간섭과
영향력 행사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은 4일 “한국과의 관계를 이간질하는 행위를 중단
하라. 중국은 다른 나라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며 맞섰다.

                                                                              2025, 6, 5.

 주일

 오전 6시~12시 30분

 

 

 

 오후 4시~ 7시

 

 

 평일

 오전10시~12시

 

 

 

 오후2시~20시

 

 

 휴무

 월요일/목요일/공휴일

 

 

 

 

 

 

 TEL

 064) 738-6123

 

 

 FAX

 064) 738-6122

 

 

 E-mail

 lover4826@naver.com

 

  • 오늘 방문자 746 명
  • 전체 방문자 741,982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