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80주년 전승절 열병식 장면 미카엘 4 91 09.06 12:24 195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 열병식왼쪽부터 린자오 중국 국방부장, 김일성 주석, 저우라이언 중국 총리, 미하일 수슬로프 소련 외무위원장, 호찌민 베트남 총서기, 마오쩌둥 중국 주석, 흐루스쵸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32년만에 ‘한반도 비핵화’ 침묵한 중중국이 시진핑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4일 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면서 ‘한반도 비핵화’를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시 주석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 수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고만 밝혔다. 중국은 그간 북한 문제를 거론할 때마다 ‘한반도 평화·안정 수호, 한반도 비핵화, 대화·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한반도 3원칙을 확고하게 견지해 왔다. 그런데 시 주석이 6년여 만에 김 위원장을 만나 혈맹 복원을 공식화한 자리에서 비핵화 대목을 쏙 뺀 것이다.장쩌민, 후진타오 주석 등 중국 최고 지도자들은 1차 북핵 위기가 터진 1993년부터 한반도 비핵화 입장을 거둔 적이 없다. 시 주석도 2018∼2019년 5차례에 걸친 북-중 정상회담에서 예외 없이 한반도 비핵화를 거론했다. 이번에 이 표현 자체가 사라진 것은 북한의 핵 보유를 묵인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중국이 북핵을 인정할 경우 동결-축소-비핵화로 이어지는 이재명 정부의 3단계 북핵 폐기 구상은 난관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 국가’라 부르는 상황이다. 북-미 회담이 성사되더라도 자칫 북한의 요구대로 핵 보유를 허용하는 핵군축 협상으로 변질될 수 있다. 여기에 북한의 뒷배인 중국마저 비핵화 외교 궤도에서 이탈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으니, 김 위원장이 미국에 핵 보유를 강변할 여지가 더욱 커진 것이나 다름없다.정부는 다음 달 열리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을 초청한 상태다. 시 주석은 북핵 문제 해결에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수차례 공언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APEC을 계기로 개최가 예상되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이를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핵 보유 용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오랫동안 북핵을 규탄하고, 제재에 찬성했던 중국의 책임과도 어긋난다고 지적해야 한다. 2025, 9, 6. 일간지 사설